🧠
Hi, Daehuyn Lee
  • Fork-my-brain
  • Network
    • 7. "데이터가 전달되는 원리" OSI 7계층 모델과 TCP:IP 모델
    • [Netwhat] 연습문제 정리
    • 11. IP 라우팅(routing) 동작 과정
    • 3. IP address 란?
    • 2. 컴퓨터 구조를 통해 이해하는 파일(File)과 소켓(Socket)
    • 10 "더 편리한 인터넷을 위해" DHCP && DNS 프로토콜
    • 9. 데이터? 세그먼트? 패킷? 헷갈릴 땐 PDU를 알아보자
    • 8. TCP 와 UDP 차이를 자세히 알아보자
    • 5. 서브넷팅(subnetting)으로 네크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자
    • 4. 넷마스크(Netmask)와 서브넷마스크(Subnetmask)
    • 1. 비유로 이해하는 컴퓨터 구조
    • 6. 공인(Public) && 사설(Private) IP의 차이점
  • Django
    • [Django 1] 가상환경에 Django 설치하기
    • [Django 3] Hello World 웹사이트 만들기
    • [Django 9] static 으로 css 로드하기
    • [Django 10] 한 템플릿에서 복수의 css 파일 적용하기
    • [Django 11] URL app별로 관리하기
    • [Django 8] 템플릿 상속
    • [Django 4] MTV 패턴
    • [Django 6] 블로그 model 만들기
    • [Django 2] Django는 어떻게 작동할까
    • [Django 7] '새 글 작성' 기능 만들기
    • [Django 5] 템플릿 언어
  • Projects
    • 예발자닷컴
      • 4. 프론트엔드의 역할은 어디까지 - 더미데이터 만들기
      • 7. [React 리팩토링] CSS Inline Styling에 Props 사용하기
      • 6. [React 리팩토링] JSX에서 조건문 사용해 렌더링하기
      • 3. 예발자닷컴 프론트서버 업데이트 하기
      • 8. [React 리팩토링] 예발자 프로젝트에 Redux 적용하기
      • 5. [React 리팩토링] JSX로 HTML 렌더링하기
      • 1. 👨‍👨‍👦‍👦 Github로 협업 프로젝트 관리하기
      • 2. React Component를 활용한 웹페이지 디자인 연습
  • Git
    • [Git] Interactive Rebase 실습
    • 오픈소스 개발 참여에 필요한 Git 명령어 정리
    • 개발자가 오픈소스를 읽는 방법
    • 오픈소스 프로젝트 시작하기
    • SSH agent ; Passphrase 입력 없이 Push하기
    • SSH로 원격저장소 접속하기
    • [Github] 개인 저장소를 팀 저장소로 변경하기
    • GitHub Dependabot
    • Git add, commit, push 취소하기
    • 깃헙 잔디 관리 팁
    • 원격저장소 여러개 연결하기
    • Typora(마크다운 에디터) 사용법
  • C
    • C Piscine
      • 메모리 구조를 알아보자
      • Makefile 만들기
      • GCC로 정적 라이브러리 파일 만들기
      • 외부 라이브러리 GCC로 컴파일 하기
      • 정적(Static) 변수
      • 저수준 파일 입출력
      • Makefile 자주 사용하는 문법 정리
      • segmentation fault 해결하기
      • C의 구조체 개념
      • 연결 리스트(linked list)에서 이중 포인터 사용하기
      • 로컬에 Norminette 설치하기
    • GetNextLine
      • [GetNextLine] 과제소개-Reading a line on a fd is way too tedious
      • [GetNextLine] 삽질의 기록
      • [GetNextLine] 리팩토링-프로그램의 목적을 고려한 코드
    • ft_printf
      • 1. 과제소개
      • 2. 가변인자 (Variadic Arguments)
      • 3. 형식태그와 서식지정자 printf 함수의 옵션 알아보기
    • Libft
      • [Libft] Bonus
      • [Libft] Test Program
      • [Libft] 나만의 C 라이브러리 만들기
      • [Libft] Part 2
      • [Libft] Part 1
  • UNIX shell
    • [minishell] 4. 종료상태와 에러메세지 처리
    • [minishell] 1. 과제소개 및 선행지식
    • [minishell] 2. 프로그램 구조 및 개발 기록들
    • [minishell] 5. 파이프(Pipe) 처리
    • [minishell] 3. 시그널(Signal) 처리하기
    • [minishell] 6. 리다이렉션(Redirection) 처리
  • Web
    • Next.js
      • [Next.js] CSS모듈과 복수의 class 사용하기
    • Node.js
      • [Node.js] 웹페이지에 파일 띄우기
      • [Node.js] URL에서 쿼리스트링 추출하기
      • [Node.js] '새 글 작성' 페이지 만들기
    • React
      • [React] 2. 컴포넌트(Component) 생성 및 파일별로 분리하기
      • [React] 1. 파일 구조 이해하기
      • [React] 4. 컴포넌트의 State 란
      • [React] 3. 컴포넌트의 Props 란
    • Javascript
      • Click, Enter 두 개의 이벤트 동시에 등록하기
      • Click eventListener 등록하기
      • JavaScript & C 문법 비교
      • JavaScript 객체 지향의 특징
    • CSS
      • [CSS] box-model, display, position
  • Docker
    • ft_server
      • 2. 도커 설치부터 워드프레스 구축까지
      • 1. 선행지식-Docker? Debian Buster? Nginx? ...
      • 3. Dockerfile 만들기
  • Kubernetes
    •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3. API 호출
    •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1. 구성 및 설계
    •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2. 오브젝트 (Objects)
  • Operating System
    • Philosophers
      • [Philosophers] 예시예제로 보는 뮤텍스와 세마포어의 차이
      • [Philosophers] 식사하는 철학자 문제 소개
  • CPP
    • [CPP-08] STL containers, iterators, algorithms
    • [CPP-06] CPP 형변환 연산자
    • [CPP-04 ex02] 인터페이스(Interface) 클래스
    • [CPP-04 ex00] 다형성(Polymorphism) 및 가상함수
    • [CPP-02] Canonical 클래스 복사 생성자와 대입 연산자 오버로딩
    • [CPP-07] Templates
    • [CPP-01] this 포인터와 문자열 스트림(stringstream)
    • [CPP-01] 클래스의 정적할당과 동적할당 new, delete
    • [CPP-01] 파일 입출력 및 문자열 치환하기
    • [CPP-01] 참조자(reference)와 포인터는 다르다
    • [CPP-02] 정수부동소수값 - 고정소수값 변환
    • [CPP-04 ex01] 추상 클래스의 필요성 순수 가상함수
    • [CPP-00] Megaphone! CPP 표준입출력
    • [CPP-03] (ClapTrap이 뭐지) 다중 상속과 가상 상속
    • [CPP-05] 예외 처리 (exception handling)
    • [CPP-00] 객체지향의 관점으로 클래스 이해하기
    • [CPP-01] 랜덤값 얻기
  • IBM Cloud
    • [IBM Cloud] 1.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
    • [IBM Cloud] 5.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 요소
    • [IBM Cloud] 3.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및 배포 모델
    • [IBM Cloud] 2.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새 기술들
    • [IBM Cloud] 4. 떠오르는 클라우드 트렌드
    • [IBM Cloud] 6. 클라우드 스토리지 유형 및 CDN
  • Assembly
    • [libasm] 어셈블리 프로그램 구조와 x64 레지스터 이해하기
    • [libasm] strlen 함수를 어셈블리어로 짠다면
    • [libasm] 어셈블리 명령어(opcode) 정리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1. 종료 상태(exit status)와 $? 변수
  • 2. 종료 상태 코드(exit status code)
  • 3. strerror(errno) 로 에러 메세지 출력하기
  • 4. minishell의 에러 메세지와 $? 값
  • 5. bash의 에러 메세지 특이 케이스
  • 5.1. 종료코드(1)
  • 5.2. 종료코드(127)
  • 5.3. 종료코드(255)

Was this helpful?

  1. UNIX shell

[minishell] 4. 종료상태와 에러메세지 처리

모든 명령어는 종료 상태(exit status) 리턴한다. 명령어 성공시에는 0을 리턴하고 실패시에는 에러 코드로 해석될 수 있는 1~255를 리턴한다. 즉 유닉스 관례를 잘 따르는 프로그램이라면, 함수의 가장 마지막에 실행된 명령어가 종료 상태를 결정한다.

PreviousUNIX shellNext[minishell] 1. 과제소개 및 선행지식

Last updated 3 years ago

Was this helpful?

1. 종료 상태(exit status)와 $? 변수

모든 명령어는 종료 상태(exit status) 리턴한다. 명령어가 성공시에는 0을 리턴하고 실패시에는 에러 코드로 해석될 수 있는 non-zero(1~255)를 리턴한다. 마찬가지로 유닉스 관례를 잘 따르는 프로그램, 스크립트 등 이라면, 함수의 가장 마지막에 실행된 명령어가 종료 상태를 결정한다.

$? 변수는 제일 마지막 명령어의 종료 상태 코드 값을 가진다. bash에서는 이렇게 해서 함수의 리턴값을 돌려주는 것이다.

상단의 터미널 이미지 참고 !

2. 종료 상태 코드(exit status code)

몇몇 종료 상태 코드들은 예약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exit 의 매개변수로 쓰면 안 된다. 흔히 프로그램에서 에러 발생시 종료를 위해 exit 1을 쓰는데, 이는 다양한 형태의 에러를 나타내기 때문에 맞는 사용이기도 하지만, 다른 면에서 보면 에러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도 의미한다.

종료 코드

뜻

에러메세지

0

성공적으로 실행

1

광범위한 일반적 에러

“Operation not permitted” , "not a valid identifier", "too many arguments" 등

2

쉘 builtin 명령어의 오사용

“No such file or directory” 등

126

Permission 문제로 실행 불가능한 명령어의 구동

"Permission denied", "Is a directory"

127

명령어의 경로($PATH) 문제 혹은 명령어 오타

“Command not found”, “No such file or directory”

130

치명적 에러 발생으로 인한 종료 (Ctrl+C)

"Script terminated by Ctrl+C”

255

exit 에 정수(0~255)가 아닌 인자 넘김

"numeric argument required"

3. strerror(errno) 로 에러 메세지 출력하기

42 minishell 과제는 기본적으로 bash를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bash의 에러 메세지라고도 볼 수 있다.

현실적으로 미니쉘을 구현하면서, 종료 코드에 맞는 모든 에러 메세지를 미리 설정해 출력하는 건 불가능하다. bash의 모든 에러 상황을 테스트 해볼수는 없기 때문이다.

#include <stdio.h>
#include <string.h>
#include <stdlib.h>

int         main(void)
{
    int     errno = 0;
    char    *error_message;

    printf("< errno와 에러메세지 목록 >\n");
    for (errno = 0; errno < 108; errno++)
    {
        error_message = strerror(errno);
        printf("%d. %s\n", errno, error_message);
    }
    return (0);
}

프로그램 실행 결과

< errno와 에러메세지 목록 >
0. Undefined error: 0
1. Operation not permitted
2. No such file or directory
3. No such process
4. Interrupted system call
5. Input/output error
6. Device not configured
7. Argument list too long
8. Exec format error
9. Bad file descriptor
10. No child processes
11. Resource deadlock avoided
12. Cannot allocate memory
13. Permission denied
14. Bad address
15. Block device required
16. Resource busy
17. File exists
18. Cross-device link
19. Operation not supported by device
20. Not a directory
21. Is a directory
22. Invalid argument
23. Too many open files in system
24. Too many open files
25. Inappropriate ioctl for device
26. Text file busy
27. File too large
28. No space left on device
29. Illegal seek
30. Read-only file system
31. Too many links
32. Broken pipe
33. Numerical argument out of domain
34. Result too large
35. Resource temporarily unavailable
36. Operation now in progress
37. Operation already in progress
38. Socket operation on non-socket
39. Destination address required
40. Message too long
41. Protocol wrong type for socket
42. Protocol not available
43. Protocol not supported
44. Socket type not supported
45. Operation not supported
46. Protocol family not supported
47. Address family not supported by protocol family
48. Address already in use
49. Can't assign requested address
50. Network is down
51. Network is unreachable
52. Network dropped connection on reset
53. Software caused connection abort
54. Connection reset by peer
55. No buffer space available
56. Socket is already connected
57. Socket is not connected
58. Can't send after socket shutdown
59. Too many references: can't splice
60. Operation timed out
61. Connection refused
62. Too many levels of symbolic links
63. File name too long
64. Host is down
65. No route to host
66. Directory not empty
67. Too many processes
68. Too many users
69. Disc quota exceeded
70. Stale NFS file handle
71. Too many levels of remote in path
72. RPC struct is bad
73. RPC version wrong
74. RPC prog. not avail
75. Program version wrong
76. Bad procedure for program
77. No locks available
78. Function not implemented
79. Inappropriate file type or format
80. Authentication error
81. Need authenticator
82. Device power is off
83. Device error
84. Value too large to be stored in data type
85. Bad executable (or shared library)
86. Bad CPU type in executable
87. Shared library version mismatch
88. Malformed Mach-o file
89. Operation canceled
90. Identifier removed
91. No message of desired type
92. Illegal byte sequence
93. Attribute not found
94. Bad message
95. EMULTIHOP (Reserved)
96. No message available on STREAM
97. ENOLINK (Reserved)
98. No STREAM resources
99. Not a STREAM
100. Protocol error
101. STREAM ioctl timeout
102. Operation not supported on socket
103. Policy not found
104. State not recoverable
105. Previous owner died
106. Interface output queue is full
107. Unknown error: 107

몇 가지 익숙한 에러 메세지들도 보인다. 이제 미니쉘에서 아래 코드 처럼 라고 일일이 에러 메세지를 정의해 줄 필요 없이,

printf("Not a directory");
exit(EXIT_FAILURE);

아래 코드 처럼 가능한 상태코드의 에러메세지는 strerror 함수를 통해 출력시키는게 좋을 것 같다.

strerror(errno);
exit(EXIT_FAILURE);

4. minishell의 에러 메세지와 $? 값

strerror(errno)로 출력 가능한 에러 메세지들은 다 출력해주고, strerror에 정의되어있지 않은 특이한 에러 메세지들은 직접 테스트해보고 넣어줘야한다. minishell 테스터를 참고하면 어떤 에러메세지가 어떤 상황에 발생하는지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래 메세지들은 흔하게 발생하지만 정의되어 있지 않다.

  • "not a valid identifier" (1)

    • export 첫 번째 인자와 =을 띄어 쓴 경우

    • export 인자에 숫자가 포함된 경우

    • unset 인자에 숫자가 포함된 경우

    • -> export, unset 수정

      • print_identifier_err()

  • "too many arguments" (1)

    • exit 인자 많을 때

      • minishell: exit: too many arguments

      • print_execute_err_1()

  • “Command not found", (127)

    • 이상한 input 들어왔을 때

      • minishell: asdasdsdsad: command not found

      • print_execute_err_1

  • "numeric argument required" (255)

    • exit 에 정수가 아닌 인자를 넘긴 경우

      • minishell: exit: iiii: numeric argument required

      • print_execute_err_2()

나는 그래서 아래 4개의 함수를 만들어 에러 관련한 메세지들을 모두 처리했다.

  1. print_identifier_err()

    • 환경변수 인자 관련 에러 출력할 함수

  2. print_execute_err_1()

    • 명령어 실행 관련해서 범용으로 사용할 함수

    • 에러 메세지에 프로그램 이름과 명령어 이름, 에러메세지가 들어감

  3. print_execute_err_2()

    • 명령어 실행 관련해서 범용으로 사용할 함수

    • 에러 메세지에 프로그램 이름과 명령어 이름, 명령어 다음 인자, 에러메세지가 들어감

  4. print_errno_err()

    • exit(EXIT_FAILURE) 하고 strerror(errno) 출력할 함수

5. bash의 에러 메세지 특이 케이스

5.1. 종료코드(1)

1. ls 옵션을 잘못 사용한 경우

bash-3.2$ ls -xyz
ls: illegal option -- y
usage: ls [-@ABCFGHLOPRSTUWabcdefghiklmnopqrstuwx1%] [file ...]
bash-3.2$ echo $?
1

2. export 첫 번째 인자와 =을 띄어 쓴 경우

bash-3.2$ export test = test
bash: export: `=': not a valid identifier
bash-3.2$ echo $?
1
  • export 인자=인자 혹은 export 인자= 인자 만 가능

3. export 인자에 숫자가 포함된 경우

bash-3.2$ export 1test=test
bash: export: `1test=test': not a valid identifier
bash-3.2$ echo $?
1
  • key 경우에만 해당

  • value에는 숫자가 들어가도 됨

4. 2번과 3번을 동시에 하는 경우

ash-3.2$ export 123 =
bash: export: `123': not a valid identifier
bash: export: `=': not a valid identifier
bash-3.2$ echo $?
1
  • 에러메세지 두 개가 나옴

5. exit 정수 인자가 여러 개인 경우

bash-3.2$ exit 42 42
exit
bash: exit: too many arguments
bash-3.2$ echo $?
1

5.2. 종료코드(127)

환경변수 목록에 없는 변수를 인자로 넣은 경우

bash-3.2$ env xyz
env: xyz: No such file or directory
bash-3.2$ echo $?
127
  • 근데 평가 항목에 인자 안 넣는 것으로..

5.3. 종료코드(255)

exit 에 정수가 아닌 인자를 넘긴 경우

bash-3.2$ exit ddddd
exit
bash: exit: ddddd: numeric argument required
daelee@daelee$ echo $?
255
  • 우리 minishell 에서는 exit(255)로 구현하면 될 것 같다.

minishell-0.0.0$ exit ddddd
minishell: exit: ddddd: numeric argument required
 ✘ daelee@daelee  ~/test/sancho   main ±  echo $?
255

그럴때 사용하라고 주어진 허용함수가 char *strerror(int errno); 이다. 를 통해 에러 번호(errno)와 에러 메세지 문자열을 얻을 수 있다. 아래처럼 테스트 해보니 c에서 errno 변수와 그에 맞는 메세지는 총 108개 내장되어 있는 것 같다.

분명 이 글 에서는 exit에 잘못된 인자를 넘겼을 때 종료 코드로 128을 넘겨야 된다고 나오는데, 아무리 bash에서 테스트 해봐도 255가 나온다. 출처가 오래된 자료거나 bash가 업데이트 된 것 같다.

나랑 비슷한 질문을 한 구글링 자료가 있어서 찾아보니, If n is not an unsigned decimal integer, or is greater than 255, the results(exit status) are unspecified. 라고 한다. 즉, 쉘 마다 버전 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 같다.

출처
표 출처
strerror
부록 C. 특별한 의미를 갖는 종료 코드
exit code 128, what's the reason?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