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가 오픈소스를 읽는 방법
오픈소스 project를 잘 분석할 수 있는 Reading Skil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오픈소스 project를 잘 분석할 수 있는 Reading Skil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의 오픈소스 101 교육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Git은 단순한 프로젝트 버전관리 도구가 아니다. 협업의 관점에서 오픈소스를 해석하고 관리할 줄 알아야 한다.
nl
명령은 파일의 line number 명시
( 예제 코드에서는 -- mnist
폴더 )특정 폴더, 파일을 기준으로 기여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보통 오픈소스 개발을 할 때는 특정 파트에 집중하기 때문에, 폴더 별로 기여자 혹은 기여 내용을 확인할 줄 알아야한다.
즉, 프로젝트의 owner 보다, 내가 수정하고 싶은 부분의 가장 큰 기여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
오너는 바쁨...
wc -l
명령은 (파일) 라인수 개수를 측정한다.
총 commit 개수를 확인할 때 사용
commit ID 란?
6c8e2ba
가 commit의 아이디이다.
author, date, commit message, diff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commit 에서는 몇 개의 파일을 수정했을까?
grep "diff"
로 어떤 파일들을 확인했는지 잡아서 확인할 수 있다.
-- 폴더/, 파일
shortlog
, --no-merges
등 옵션들과 섞어서 사용해보자.
wc -l
옵션을 활용하면?
특정 기간의 커밋 리스트와 그 개수를 확인할 수 있으면 프로젝트 진행결과를 해석하고 통계 내기 용이함.
다른 기여자의 커밋이 master에 병합되었음을 알려주는 커밋.
머지 커밋에서는 소스의 수정내역은 없음을 확인하자.
--no-merges
옵션을 추가하면 머지커밋을 제외하고 커밋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최초 커밋을 알고 싶다면?
reverse 옵션은 역순으로 commit log를 정렬해준다.